맨위로가기

카시키아레 운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시키아레 운하는 오리노코강과 아마존강의 지류인 리우네그루강을 연결하는 자연 수로이다. 베네수엘라 라 에스메랄다 근처 오리노코강에서 시작하여 산 카를로스 데 리오 네그로 근처 리우네그루강과 합류하며, 길이는 약 320km이다. 1639년 크리스토발 디아트리스탄 데 아쿠냐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으며, 1800년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에메 봉플랑이 탐험했다. 카시키아레 운하는 오리노코강 수문 분기점으로, 오리노코 분지와 아마존 분지를 나누는 역할을 하며,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의 강 - 아마존강
    아마존강은 남아메리카를 가로지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강으로, 페루 안데스에서 발원하여 대서양으로 흘러들며 풍부한 생물다양성, 광대한 습지, 다리가 없는 특징을 지닌다.
  • 베네수엘라의 강 - 메모강
  • 브라질의 강 - 푸투마요강
    푸투마요강은 남아메리카 아마존강의 지류로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브라질을 흐르며, 콜롬비아에서는 푸투마요강, 브라질에서는 이사강으로 불리고, 아마존 고무 붐 시기 주요 고무 생산지였으며 현재는 주요 수송로로 이용된다.
  • 브라질의 강 - 아마존강
    아마존강은 남아메리카를 가로지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강으로, 페루 안데스에서 발원하여 대서양으로 흘러들며 풍부한 생물다양성, 광대한 습지, 다리가 없는 특징을 지닌다.
카시키아레 운하
지리 정보
위치베네수엘라 아마소나스 주
수원오리노코 강
수원 위치좌표: 3°8′18″N 65°52′49″W
수원 고도약 110m
하구네그로 강
하구 위치좌표: 2°0′5″N 67°5′54″W
하구 고도약 79m
일반 정보
이름카시키아레 운하
원어 이름Casiquiare (스페인어)
길이약 340km
유역 면적약 42,478km²
평균 방류량 (하구 근처)약 2,574.3m³/s
지류
왼쪽 지류(정보 없음)
오른쪽 지류시아파 강, 야투아 강

2. 명칭 유래

카시키아레(Casiquiare)라는 이름은 마누엘 로만(Manuel Román)이 처음 사용했으며, 이는 아마도 강을 지칭하는 예쿠아나어 이름인 "카시시와디(Kashishiwadi)"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4]

3. 발견 및 탐사

오리노코 강과 네그로 강을 아마존 숲에서 연결하는 카시키아레 강 또는 운하. 지도는 알렉산더 폰 훔볼트가 1799년 이 지역을 측량한 것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카시키아레 운하는 여러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고 탐사되었다. 1639년 스페인 예수회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크리스토발 디아트리스탄 데 아쿠냐가 처음으로 기술했다. 1744년 마누엘 로만 신부가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을 만나 이 운하를 통해 함께 이동하면서 예쿠아나 사람들과 최초로 접촉했다. 이후 샤를 마리 드 라 콘다민이 이 내용을 프랑스 학술원에 보고했다. 1756년 스페인 경계선 위원회에 의해 확인되었고, 1800년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에메 봉플랑이 탐험했다.

20세기 이후에는 1924년-1925년에 알렉산더 H. 라이스 주니어가 항공 사진과 단파 라디오를 이용해 탐험했고, 1968년에는 SRN6 호버크래프트가 항해했다.[8]

3. 1. 초기 발견

카시키아레 운하를 처음 기술한 유럽인은 1639년 스페인 예수회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크리스토발 디아트리스탄 데 아쿠냐였다.

1744년, 오리노코강 상류의 베네수엘라 라 에스메랄다 지역에서 마누엘 로만이라는 예수회 신부가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을 만났다. 포르투갈인들은 자신들이 스페인 영토가 아닌 아마존의 지류에 있다고 주장하며, 로만 신부에게 자신들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함께 돌아갈 것을 제안했다. 로만 신부는 카시키아레 운하를 통해 그들과 함께 돌아갔고, 그 후 오리노코로 가는 자신의 경로를 되짚어 갔다. 그 과정에서 그는 예쿠아나 사람들과 최초 접촉을 하여 그들을 자신의 여정에 합류시켰다. 샤를 마리 드 라 콘다민은 7개월 후, 로만 신부의 항해에 대한 보고서를 프랑스 학술원에 전달하여 1639년 아쿠냐 신부가 처음 보고한 이 수로의 존재를 확인했다.[5]

1756년, 스페인 경계선 위원회 호세 이투리아가와 솔라노에 의해 로만 신부의 진술이 확인될 때까지는 거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5] 1800년 독일 과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6]와 프랑스 식물학자 에메 봉플랑이 이 강을 탐험했다.[7]

3. 2. 18세기 탐사

1639년, 스페인 예수회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크리스토발 디아트리스탄 데 아쿠냐가 카시키아레 운하를 처음으로 기술한 유럽인이었다.[5]

1744년, 예수회 신부 마누엘 로만은 오리노코강 상류, 베네수엘라 라 에스메랄다 지역에서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을 만났다. 포르투갈인들은 자신들이 스페인 영토가 아닌 아마존의 지류에 있다고 주장하며 로만 신부에게 자신들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함께 돌아갈 것을 제안했다. 로만 신부는 카시키아레 운하를 통해 그들과 함께 돌아갔고, 이후 오리노코로 가는 자신의 경로를 되짚어 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예쿠아나 사람들과 최초로 접촉하여 그들을 자신의 여정에 합류시켰다. 7개월 후, 샤를 마리 드 라 콘다민은 로만 신부의 항해에 대한 보고서를 프랑스 학술원에 전달하여 1639년 아쿠냐 신부가 처음 보고한 이 수로의 존재를 확인했다.[5]

1756년, 스페인 경계선 위원회 호세 이투리아가와 솔라노에 의해 로만 신부의 진술은 거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5] 1800년, 독일 과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6]와 프랑스 식물학자 에메 봉플랑이 이 강을 탐험했다.[7]

3. 3. 19세기 탐사

1639년 스페인 예수회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크리스토발 디아트리스탄 데 아쿠냐가 카시키아레 운하를 처음으로 기술한 유럽인이다.[5]

1744년 오리노코강 상류의 베네수엘라 라 에스메랄다 지역에서 마누엘 로만 신부가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을 만났다. 포르투갈인들은 자신들이 스페인 영토가 아닌 아마존의 지류에 있다고 주장하며 로만 신부에게 함께 돌아갈 것을 제안했다. 로만 신부는 카시키아레 운하를 통해 그들과 동행했고, 이후 오리노코로 가는 경로를 되짚어 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예쿠아나 사람들과 최초로 접촉했다.[5] 샤를 마리 드 라 콘다민은 7개월 후, 로만 신부의 항해 보고서를 프랑스 학술원에 제출하여 아쿠냐 신부가 처음 보고한 수로의 존재를 확인했다.[5]

1756년 스페인 경계선 위원회 호세 이투리아가와 솔라노가 카시키아레 운하를 확인하기 전까지 로만 신부의 진술은 거의 신뢰를 받지 못했다.[5] 1800년에는 독일 과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6]와 프랑스 식물학자 에메 봉플랑이 이 강을 탐험했다.[7]

3. 4. 20세기 이후 탐사

1924-25년 탐험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알렉산더 H. 라이스 주니어는 오리노코강을 거슬러 올라가 카시키아레 운하를 통과하여 마나우스에서 아마존으로 가는 네그로강을 따라 내려갔다. 이는 항공 사진과 단파 라디오를 사용하여 이 지역을 매핑한 최초의 탐험이었다. 1968년에는 SRN6 호버크래프트가 The Geographical Journal 원정 기간 동안 카시키아레를 항해했다.[8]

4. 지리

카시키아레 운하는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남부에 위치하며, 오리노코 강과 아마존 강 유역을 연결하는 독특한 지리적 특징을 가진다. 라 에스메랄다 인근 오리노코 강 상류에서 시작하여 산 카를로스 근처 아마존 강의 지류인 리우네그루 강과 연결된다.[9]

카시키아레 운하 서쪽에는 피미친 지협이 있는데, 이곳은 오리노코 강과 아마존 강을 잇는 더 짧고 쉬운 육로 수송로이다. 이 지협은 오리노코 강의 지류인 아타바포 강의 테미 지류를 통해 도달할 수 있다.

4. 1. 수문학적 특징

카시키아레(왼쪽 하단)는 오리노코에서 분리되어 있다.


카시키아레 운하는 오리노코 강에서 시작되며, 라 에스메랄다에서 약 14.48km 떨어진 지점에서 해발 123m 높이에 위치한다. 아마존 강의 지류인 리우 네그루 강과의 합류 지점은 산 카를로스 근처이며 해발 91m 높이에 있다.[9]

전반적인 흐름은 남서쪽이며, 굽이치는 부분을 포함한 길이는 약 약 321.87km이다. 오리노코 강과의 강 분기점에서의 폭은 약 약 91.44m이며, 리우 네그루 강으로 향하는 유속은 0.75mph이다. 그러나 도중에 크고 작은 수많은 지류로부터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여 우기에는 5mph에 달하며, 특정 구간에서는 심지어 8mph에 이르기도 한다. 합류 지점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상당히 넓어져 약 약 533.40m에 이른다. 카시키아레 운하가 오리노코 강에서 끌어오는 물의 양은 흐르는 동안 축적되는 양에 비해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질학적 과정은 계속 진행 중이며, 카시키아레 운하의 크기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현재 유수 포획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높으며, 즉 현재 쿠누쿠누마 강을 포함한 오리노코 강 상류 유역은 결국 카시키아레 운하에 의해 아마존 유역으로 완전히 전환될 것이다.[9]

홍수기에는 서쪽으로 뻗어 나와 카시키아레 운하가 리우 네그루 강과 두 번째로 연결되는 지류인 이티니비니가 있는데, 이 지류는 합류 지점에서 약 약 80.47km 떨어진 지점에서 갈라져 나온다고 한다. 건기에는 얕은 곳이 있고 모래톱, 몇몇 여울, 화강암 바위로 막혀 있다. 강둑은 빽빽한 숲으로 덮여 있으며 토양은 리우 네그루 강을 따라 있는 토양보다 더 비옥하다. 운하가 통과하는 평원의 일반적인 경사는 남서쪽이지만, 리우 네그루 강 유역은 남동쪽으로 경사져 있다.

카시키아레 운하는 평평한 고원 지대에 있는 느린 운하가 아니라, 만약 상류가 아마도 침식을 통해 오리노코 강과 연결되지 않았다면 아마존 강의 네그루 지류에 완전히 속했을 크고 빠른 강이다.

아마조나스 주(베네수엘라) 카시키아레 강 일몰


카시키아레 운하는 오리노코 강 수문 분기점은 오리노코 분지와 아마존 분지 사이의 분리를 나타내는 수문 분수계를 나타낸다. 오리노코 분지는 서-북-북동 방향으로 흘러 카리브 해로 들어가고, 아마존 분지는 동쪽으로 흘러 브라질 북동부 끝자락의 서부 대서양으로 들어간다.

분기점의 가장 큰 징후는 홍수 시에 나타난다. 홍수 시에는 카시키아레 운하의 주요 유출 지점인 리우네그루 강으로의 유입이 두 번째이자 더 작은 진입 지점인 리우네그루 강으로의 강 분기점과 리우네그루 강과의 주요하고 일반적인 저수위 유입 합류점의 상류에서 보충된다.

카시키아레 운하는 에스메랄다스 선교지에서 약 14.48km 떨어진 오리노코 강 상류를 산 카를로스 근처 아마존 강의 지류인 리우네그루 강과 연결한다.

카시키아레 강 유역은 인근 오리노코 강 상류부와 함께 1993년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1]

4. 2. 유수 포획

카시키아레 강은 오리노코 강에서 갈라져 나와 아마존 강의 지류인 리우네그루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으로, 현재 유수 포획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높다. 즉, 쿠누쿠누마 강을 포함한 오리노코 강 상류 유역이 결국 카시키아레 강에 의해 아마존 유역으로 완전히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9][10]

카시키아레 강의 물줄기는 오리노코 강에서 시작되어 남서쪽으로 흐르며, 굽이치는 부분을 포함한 길이는 약 320km이다. 오리노코 강과의 강 분기점에서의 폭은 약 90m이고, 리우네그루 강으로 향하는 유속은 1.2km/h이다. 그러나 여러 지류에서 물이 유입되면서 유속이 증가하여 우기에는 8km/h에서 13km/h에 이르기도 한다. 리우네그루 강과의 합류 지점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어져 약 500m에 이른다.

카시키아레 강이 오리노코 강에서 끌어오는 물의 양은 흐르는 동안 축적되는 양에 비해 적지만, 지질학적 과정은 계속 진행 중이며 카시키아레 강의 크기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홍수기에는 카시키아레 강에서 서쪽으로 뻗어 나와 리우네그루 강과 두 번째로 연결되는 지류인 이티니비니가 있는데, 건기에는 얕은 곳, 모래톱, 여울, 화강암 바위 등으로 막혀 있다. 강둑은 빽빽한 숲으로 덮여 있으며 토양은 리우네그루 강을 따라 있는 토양보다 비옥하다.

카시키아레 강은 평평한 고원 지대에 있는 느린 운하가 아니라, 상류가 오리노코 강과 연결되지 않았다면 아마존 강의 네그루 지류에 속했을 크고 빠른 강이다.

4. 3. 피미친 지협

카시키아레강 서쪽에는 오리노코강과 아마존강 유역 사이에 더 짧고 쉬운 육로 수송로가 있는데, 이는 오리노코강의 지류인 아타바포 강의 테미 지류를 따라 올라가면 도달할 수 있는 피미친 지협이라고 불린다. 테미 강은 다소 방해를 받지만, 작은 배는 쉽게 항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협은 가로질러 10km이며, 지면은 완만하게 굴곡져 있고, 어느 곳도 약 15.24m 이상 높지 않으며, 늪과 습지가 있다. 20세기 초에는 테미 강에서 끌어올려 피미친이라고 불리는 작은 개울을 통해 리우네그루 강에 도달하는 대형 카누를 운송하는 데 많이 사용되었다.[9]

5. 생태

카시키아레강 유역은 숲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네그로강보다 비옥하다. 이 강이 흐르는 평원은 남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네그로강의 평원은 남동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카시키아레강 유역에는 무수한 곤충이 들끓고 있다.[11]

카시키아레강 유역은 인근 오리노코강 상류부와 함께 1993년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1]

참조

[1] 서적 The Inland waters of Latin Americ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 웹사이트 Rivers Network https://www.riversne[...]
[3] 웹사이트 Rivers Network https://www.riversne[...]
[4] 문서 Fertility in Amazonia: Indigenous Concepts of the Human Reproductive Process Among the Ye'kwana of Southern Venezuela
[5] 문서 To Weave and Sing: Art, Symbol, and Narrative in the South American Rainforest
[6] EB1911 Orinoco 1911
[7] 서적 Alexander von Humboldt: A Concise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뉴스 Graham Clarke https://www.telegrap[...] 2007-10-07
[9] 서적 Earth's Landscape: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Geographic Features
[10] 학술지 Ongoing River Capture in the Amazon 2018-05-25
[11] 웹사이트 Alto Orinoco-Casiquiare Biosphere Reserve, Venezuela https://en.unesco.or[...] 2019-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